건설안전기사와 산업안전기사 취업, 현장 적용 업무영역 차이 정리
안전 관련 자격증 중 건설안전기사와 산업안전기사 두 자격증 중 어떤 것이 더 취업과 업무 환경이 유리할까
모두 고민해보셨을 겁니다. 이 두가지 자격증의 업무 영역과 법적 선임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정리했습니다.
안전기사 법적 선임 기준
산언안전보건법의 자격 요건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4에 나와있습니다.
제조업
제조업은 일단 상시 근로자가 500명 이상이냐 OR 이하냐 로 구분됩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첫번째,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인 제조업
- 안전관리자를 최소 2명 이상 선임
- 그 2명 중 1명은 무조건 산업안전지도사, 산업 안전 기사, 안전공학 전공자
- 나머지 한 명은 건설안전(산업)기사도 가능!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500명 미만인 제조업
- 안전관리자를 최소 1명 이상 선입
- BUT!! 건설 안전 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는 제외
건설업
건설업은 공사 금액이 기준이 되어 안전관리자 선임 수가 달라집니다.
첫번째,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600명 이상 건설업
- 안전관리자를 최소 2명 이상 선입
- 그 2명 중 1명은 무조건 건설안전(산업)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취득 후 경력 3면
- 나머지 인원은 산업안저(산업)기사 무경력도 가능!
두번째, 공사금액 120억원 이상 800억 미만 건설업
- 안전관리자를 최소 1명 이상 선입
- 건설안전(산업)기사 혹은 산업안전(산업)기사 모두 가능!
위에 내용을 정리해보면
산업 안전 기사가 건설 안전 기사보다 범용성이 더 크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경력이 있으면 대형 건설현장도 가능하며
소중규모 현장은 무경력으로도 가능합니다.
- 제조업 :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 -> 산업안전 기사
- 제조업 :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500명 미만 -> 산업안전(산업)기사
- 건설업 :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600명 이상 -> 건설안전(산업)기사
- 건설업 : 공사금액 800억 미만 -> 건설안전(산업)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실업급여 조건, 신청방법, 계산방법, 계산기 총 정리!